'셋팅'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3.06.30 AWS/Ubuntu EC2 셋팅
  2. 2010.07.02 SpringSetting Review

AWS/Ubuntu EC2 셋팅

Programing 2023. 6. 30. 17:33
반응형

YUM 사용 : Amazon Linux, RedHat, CentOS

APT-GET 사용 : Ubuntu, Debian

 

1. mysql 설치

 

우분투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mysql server 설치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Y

 

외부 접근 허용

sudo ufw allow mysql

mysql 실행

sudo systemctl start mysql

mysql 접속

sudo /usr/bin/mysql -u root -p

패스워드는 그냥 엔터

 

데이터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GUIVING;

 

계정생성

create user 'jh'@'%' identified by 'password1234!!';
FLUSH PRIVILEGES;

 

계정에 권한 부여 (*.* 데이터베이스명.테이블명, *는 걍 다 줌)

grant all privileges on GUIVING.* to 'jh'@'%';
FLUSH PRIVILEGES;

 

외부 접근 셋팅

https://npre.tistory.com/entry/%EB%A6%AC%EB%88%85%EC%8A%A4-Mysql-%EC%99%B8%EB%B6%80%EC%A0%91%EC%86%8D-%EC%85%8B%ED%8C%85

 

리눅스 Mysql 외부접속 셋팅

1. user table 변경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 'root'@'%' identified by '패스워드'; mysql> flush privileges; 2. bind-address 주석 vi /etc/mysql/my.cnf 또는 해당 파일 내부 참조파일 3. mysql restart service mysql restart 4. 3306

npre.tistory.com

 

2. tomcat 설치 (java 설치)

자바 설치 확인

java --version

 

 

APT-GET update

sudo apt-get update

 

JRE install (필요한 버젼으로)

sudo apt install openjdk-11-jre-headless

JRE 여러개 설치 되었을 때 버젼 변경하는법 참조

https://freedeveloper.tistory.com/347

 

톰캣 설치 위치 만들기

sudo mkdir /home/tomcat

 

톰캣다운로드

 

https://tomcat.apache.org/download-90.cgi

 

Apache Tomcat® - Apache Tomcat 9 Software Downloads

Welcome to the Apache Tomcat® 9.x software download page. This page provides download links for obtaining the latest version of Tomcat 9.0.x software, as well as links to the archives of older releases. Unsure which version you need? Specification version

tomcat.apache.org

에서 다운로드 링크 복사

 

sudo tar xvfz apache-tomcat-9~~~

 

환경변수 설정

 

sudo chmod -R 777 /etc/profile
sudo vi /etc/profile


##추가
export CATALINA_HOME=/home/tomcat



source /etc/profile

 

권한설정해두기

sudo chmod -R 777 home/tomcat/

 

실행

sudo ./startup.sh

 

 

 

## 참고사항

EC2하나에 mysql과 tomcat을 동시에 셋팅하면 서버가 뻗어버리는 현상 발생, 프리티어 EC2두개로 생성하여 하나씩 셋팅하는것을 권장

Posted by npre
,

SpringSetting Review

Programing 2010. 7. 2. 11:54
반응형

사용자의 요청이 들어왔을때

1. DispatcherServlet으로간다

DispatcherServlet의 mapping 에서  url-pattetn으로 *.do 이런식으로 어떤확장자로 들어오는 요청을 처리할지 결정


<init-param>

 <param-name>contextConfigLocation</param-name> <param-value> /WEB-INF/action/action*.xml </param-value> </init-param>

여기 param-value로 action-servlet 파일들을 설정한다.

2. 컨트롤러를 요청한다.

HandlerMapping

Action-servlet에서 simpleUrlHandlerMapping 클래스를 사용하여 정의

<entry key="/board.do" value-ref="boardControl"/>

이런식으로 board.do 의 요청은 boardControl 에서 처리해주도록 연결시켜준다.

.do 이하의 요소들은 methodNameResolver를 이용하여

board.do?method=~~~ 이런식으로 메서드 명을 파라미터로 하여 연결한다.

<property name="defaultMethodName"> <value>list</value> </property>

디폴트메써드네임을 이용하여 메써드명이 없을때 기본으로 연결시킬 함수를 정의한다.

3. ViewResolver Setting

컨트롤러에서 보여줄 뷰 패이지 정보를 MaV에 담에 쏴주면 뷰리졸버를 거쳐 보여준다.

뷰리졸버에서 prefix와 suffix를 설정한다.

4. 각 DI연결

MemberService와 MemberDAO등을 정의하고 알맞게 연결해준다.

<bean id="boardControl" parent="commMultiActionControl" class="com.moku.board.control.BoardControl"> <property name="boardService" ref="boardService" /> <property name="methodNameResolver" ref="methodNameResolver" /> </bean>

컨트롤러에는 서비스와 메서드네임리졸버를,

서비스에는 다오를 연결시킨다.

Posted by npre
,